1. NULL 값의 연산은 언제나 NULL이다.
- NULL 값은 공백이나 숫자 0 과는 전혀 다른 의미이다. NULL은 '아직 정의되지 않은 미지의 값' 또는 '현재 데이터를 입력하지 못하는 경우'를 의미한다. 즉, 값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.
- 따라서, NULL 값에 어떤 연산을 하더라도, 그 결과는 '미지의 값'이므로 NULL이 된다.
2. 집계 함수는 NULL 값을 제외하고 처리한다.
- SUM 함수의 경우, 정의된 칼럼의 값을 모두 합산하는 함수로 NULL 값이 들어올 경우 이는 제외하고 처리한다. 이때, 모든 값이 NULL이라 입력된 값이 없으면, SUM 함수의 결과는 NULL이 된다.
- NVL는, 최종 결과가 NULL 일 때 0을 반환하는 함수이다.
'SQL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-1-1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 (0) | 2022.09.20 |
---|---|
1-2-5. 본질식별자 VS 인조식별자 (0) | 2022.09.19 |
1-2-3. 모델이 표현하는 트랜잭션의 이해 (0) | 2022.09.19 |
1-2-2. 관계와 조인의 이해 (1) | 2022.09.19 |
1-2-1. 정규화 (0) | 2022.09.19 |